**일상생활**/천주교 (7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주교구 천주교 남원성당 1. 남원공소 설립 남원 지역에 복음이 전래된 것은 1956년으로, 그 해 남원 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한 오갑순[요안나]이 어린이들을 모아 자발적으로 교리를 가르치면서였다. 그때부터 오교사는 예비신자 어린이들과 함께 학교 교실과 야외 등지에서 공동체 모임을 갖는 한편, 주일마다 수십 리 떨어져 있는 서귀포 성당까지 걸어가서 미사에 참례하였다. 이 사실을 서귀포 본당의 제13대 주임으로 재임하던 모 로베르토[R. Brady] 신부가 알게 되었으며, 그는 1956년 8월 ‘남원 공소’의 첫 미사를 남원초등학교에서 집전하였다. 2. 남원공소의 발전과 본당 승격 오갑순 교사가 전입되자, 서귀포 본당의 염 요한[J. Roche] 신부는 1960년에 강봉주[아우구스티노]를 초대 유급 전교사로 임명하여 남원 공소에 파.. 부산죽성드림성당 오래전에 블친이셨던 풍경소리님께서 보내주신 사진이다.티스토리로 이사하셨는지 모르겠네.좋은 사진 많이 보내 주셨었는데......이 사진을 이곳 천주교 카테고리에 넣고 싶어서 끼워 넣습니다. 기장 죽성마을 해변에 자리 잡은 "드림 성당"의 모습이 이국적이며,성당은 지난 2009년 방송된 드라마 "드림"의 무대였지요.몇 년이 지났지만 건물은 깨끗하게 잘 관리되고 있으며,죽성마을 앞 해변은 바다로 튀어나온 바위가 많아 풍경이 멋있습니다. 서귀포 중문 성당 *제주특별자치 시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149 (중문동 1498) 중문성당은 제주에서 가장 일찍 복음이 전래된 성당이며, 오랫동안 공소였다고 합니다. 공소라 함은 본당보다 작아 본당 주임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순회하는 구역의 천주교 공동체를 말하며, 이곳은 중문성당의 성전이에요. 작고 아담한 전형적인 시골 중문 성당. 남편과 저는 2021년 10월에 교적을 이곳 중문성당으로 옮겼습니다. 황창연 신부님께서 오셔서 중문성당에서 강의를 하신 일이 있었어요.평화방송에서도 각종 인터넷에서도 강의로 유명한 황 신부님께서 사제관을 보시고 깜짝 놀라셨대요.사실 제가 다녀온 다른 제주의 성당들은 육지의 성당들 보다 화려한 곳이 많았거든요. 평창 생태마을의 관장이시며, 각종 장류와 농산물.신부님이 쓰신 책을 판매한 수익금으.. 서귀복자성당(2022. 2. 22) *제주특별자치 시도 서귀포시 동홍동 1379-1 1980년 7월 5일에 새 성당을 봉헌하면서 현재의 본당 명칭으로 바뀌었다. 1988년 2월에 중문 본당을 분리함으로써 현재의 관할 구역을 갖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서귀포의 건축과 주거 형성이 현재 중앙동 일대로 형성됨에 따라 상업 중심권과 주민 생활권도 자연히 따라서 이동하게 되었다. 이렇게 인구 주거이동 요인의 발생과 더불어 향후 몇 년 안에 서귀포 본당의 시설 수용 능력도 한계에 이를 것이 확실해졌다. 이에 1970년 11월 9일 서귀포 본당에서 분리 설립되었으며, 당시의 본당 명칭은 ‘서귀 중앙 본당’이다. 본당 설립 1년 9개월이 지난 1972년 2월 3일, 교회를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본당 주임신부의 .. 서귀포성당 (2022. 2. 22) *제주특별자치 시도 서귀포시 태평로 398 서귀포 지역에 천주교 신앙이 전파된 것은 1898년 4월경 육지를 왕래하다가 세례를 받고 돌아온 양용항[베드로]과 이 라우렌시오가 양 베드로의 고향인 대정 군 색달리[현 서귀포시 색달동]를 비롯하여 제주 전 지역에 신앙을 전하면서였다. 그 무렵 제8대 조선교구장 민 아우구스티노 주교는 제주 지역에 복음의 터전을 마련하려는 목적에서 1899년 4월 22일 신부 2명을 제주도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파견된 신부가 김원영 신부와 구 마르첼리노 신부였다. 제주 본당을 분할하기로 결정한 것은 1900년이다. 이에 김원영 신부는 구 마르첼리노 신부와 협의한 끝에 6월 12일 제주를 떠나 한논 [서귀포시 호근동 194번지]에 정착하였으니, 이것이 곧 서귀포 본당[한논.. 조천성당(2022. 3. 3.) *제주특별자치 시도 조천읍 조천 2길 19번지 바다가 내려다 보이던 정말 아름답고 예뻤던 조천 성당. 조천 성당 정문 앞. 스탬프 찍는 곳. 조천 성당 입구. 천주교 제주교구 순례길 '김기량 길(열광의 길) 시작점. 보이는 건물. 김기량 회관. 조천 성당 성전. 제주에 처음으로 믿음의 씨앗을 뿌린 '제주 최초의 신자' 김기량 베드로. 조천 성당을 시작으로 함덕 마을을 거쳐 복자 김기량 펠릭스 베드로의 순교 현양비에 이르는 총 9.3km의 길로 제주의 해안도로가 안겨 주는 아름다운 풍광을 만끽할 수 있다. 모슬포성당(2022. 2.23) *제주특별자치 시도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805 1901년 신축교안이 발생한 이후 반(反) 가톨릭적인 분위기가 남아 있었던 모슬포에 가톨릭 교세가 호전되기 시작한 것은 6·25 전쟁 무렵부터이다. 이 지역은 이미 중일(中日) 전쟁 직후 일제에 의해 군용 비행장이 건설되면서 중국 폭격 기지로 이용되었으며, 1951년 3월 21일 육군 제1훈련소가 들어선 데 이어, 중국군 포로수용소가 설치되는 등 군사 기지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1951년 안달원(安達遠)[베드로] 신부와, 메리놀회 소속의 설리번(H. Sullivan, 薛) 신부가 훈련병 및 중국군 포로 신자들의 사목을 담당하기 위해 각각 파견되었다. 그러나 모슬포 지역의 기지촌화(基地村化)로 점차 전입인구와 교우 수가 증가하여 .. 글라라수도원과 금악성당 (2022. 2. 25) *제주특별자치 시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북로 3521 제주시 금악리 이시돌 목장 안에 있는 제주 성글라라 수녀원.외부와의 접촉이 제한된 봉쇄수녀원. 수도원 성당인 동시에 제주교구 금악성당. 택배를 받으시러 나온 수녀님 덕분에 보게 된 금악성당의 성전. 아마 순례길 스탬프도 찍지 못했을 것. 수녀님께서 흔쾌이 성전 문을 열어 주셨었다. 수도원 안내도와, 교육관이 나란히 있어서, 동시에 이 성당을 사용하는 것을 짐작했다. 1984년 처음 금악공소가 있던 한림읍 금악리 2029번지 일대에 금악 성 이시돌 회관이 건립되자 금악성당에서는 유아원, 도서실, 경로당 등으로 꾸며 지역 주민들의 복지회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비신자들의 입교를 위해 매월 반별로 소공동체 모임에 부락민들을 초대하고 있으며, 금악성.. 이전 1 2 3 4 5 ··· 10 다음 목록 더보기